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018; 33(4): 299-305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8 https://doi.org/10.7841/ksbbj.2018.33.4.299
Copyright ©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Seung-Hee Jang1, Min-Jeong Kim1, Ji-Hyang Wee2, Jong-Tae Kim1, and Won-Hee Choi1,*
1Teazen Co., Ltd., Haenam 59017, Korea
Correspondence to:*Teazen Co., Ltd., Haenam 59017, Korea. Tel: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at amla (
Keywords: amla (
탈모는 현대 사회에서의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과 연관지어지며, 사람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탈모는 과거 주요 질환에 동반되는 부수적인 증상이 아니라, 하나의 독립된 질병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탈모증은 환자수의 증가와 사회적인 관심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그 치료 방법이 매우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인체의 중요한 외모 중에서 탈모는 비정상적으로 머리털이 많이 빠져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탈모로 인하여 야기되는 상태를 탈모증이라 칭한다. 모발은 하루에 0.35 mm씩 자라며, 모발의 일생은 성장기-위축기-소멸기로 나뉘는데 보통 3개월에 9%, 3년에 90%로 계산한다면 1개월에 10% 정도의 자연 소멸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아시아인의 모발 수는 50,000~60,000개로 백인의 100,000개보다 상대적으로 적지만 대신에 모발수가 굵은 것이 아시아인의 특징이다 [1]. 탈모의 유형은 크게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산후 탈모, 지루성 두피염으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 비율이 가장 높은 탈모의 유형은 남성형 탈모이다. 탈모의 원인은 유전, 스트레스, 식생활, 호르몬 관련, 약물 부작용 등이 있다 [2]. 현재 대표적인 탈모 치료제로는 미녹시딜 (Minoxidil)과 피나스테리드 (Finasteride)가 있다. 미녹시딜은 원래 국소혈관 확장제로써 개발 되었으나, 다모증이 부작용으로 보고되면서 발모제로 상품화되었다. 이러한 미녹시딜은 직접 머리카락의 모세포에 작용하여 세포 분열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머리카락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3,4]. 또한 Finasteride는 5α-reductase type II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안드로젠의 중간 대사체인 Dihydrotestosterone (DHT)의 농도를 낮추는 기전을 통하여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6]. 그러나 이러한 치료약물에 수반되는 부작용인 심혈관계 장애, 피부 자극, 성 기능 감소 및 심각한 기형유발 등의 이유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어 보다 안전하고 환자들에게 거부감 없는 천연물 유래의 모발성 장촉진제의 연구 및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7-9].
모발의 성장주기에 관여하는 모유두세포 (dermal papilla)는 모낭의 가장 하단부에 위치하며, 모기질세포 (hair matrix cell)에 감싸져 있고 EGF (epidermal growth factor), TGF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β, 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IL (interleukin)-1 등의 성장, 저해인자를 통해 세포의 증식, 분열, 사멸 등을 조절하여 모낭의 발생 및 성장주기, 모발의 성장을 조절한다 [10]. 따라서 최근 모유두세포를 이용한 모낭 및 모발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ginsenoside F2, Avicennia marina, 갈근, 당귀와 감초 복합 한약추출물 등의 천연물을 이용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11-16].
또한, 인도에서 암라 (
실험에 사용한 암라 (
암라 추출물 200 mg에 10 mL 가수분해 용액 (EtOH : DW : HCl = 50:20:30)을 가하고 100°C 환류냉각 수욕상에서 1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후 방냉하고, 이를 50 mL 정용플라스크에 넣어 메탄올로 정용한 후 0.45 μm PTFE syringe filter 로 여과한 용액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표준물질로는 ellagic acid (Aldrich Co., USA)를 적정한 농도로 희석 조제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Ellagic acid 분석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 Agilent 1260 Infinity, USA)를 사용하였다. 분석용 컬럼은 Capcellpak C18 UG120 (250 mm×4.6 mm, 5 μm; Shiseido, Kyoto, Japan), 검출파장은 370 nm, 이동상으로는 용매 A - 1% phosphoric acid in DW와 용매 B - methanol을 이용하여 Table 1의 기울기 용매조건으로 분석하였으며, column 온도는 30°C, 유속은 1.0 mL/min 속도로 유지시켰고, 시료주입량은 10 μL로 하였다 (Table 1).
Table 1 . Mobile Phase of HPLC conditions for ellagic acid analysis
Time (min) | 1 % Phosphoric acid in DW (%) | MeOH (%) |
---|---|---|
0.0 | 70 | 30 |
15.0 | 30 | 70 |
23.0 | 30 | 70 |
25.0 | 70 | 30 |
30.0 | 70 | 30 |
The analytical column was Capcellpak C18 UG120 (250 mm × 4.6 mm, 5 μm; Shiseido, Kyoto, Japan), the detection wavelength was 370 nm and the mobile phase was 1% phosphoric acid in DW and methanol. The column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0oC, the flow rate was 1.0 mL / min, and the sample injection volume was 10 μL.
인간모유두세포 (Human dermal papilla cell(HDPC)는 (주)영사이언스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세포 배양에 사용한 배지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 Dallas, TX, USA) 배지에 10% FBS (fetal bovine serum; Hyclone)와 1% penicillin-streptomycin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을 첨가하여 기본 배지로 사용하였고, 37°C, 5% CO2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모유두 세포를 96 well-plate에 한 well당 1×104개로 분주하여 약 80%의 confluency에 도달할 때까지 10% FBS가 들어있는 배지에서 약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세포에 테스토스테론 (2 nM)처리에 따른 탈모조건을 형성시킨 후 암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으며 세포의 증식 및 사멸은 MTT (tetrazole; Sigma Aldrich) assay에 의해 관찰하였다. MTT 용액 (20 μL of 5 mg/mL)을 각 well에 첨가하고 4시간 배양 후 DMSO를 넣어 발색하고 540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5α-reductase 활성의 측정은 Human 5α-reductase / SRD5A1 ELISA Kit (LS Bio, Seattle, USA)를 사용하였다. 96 well-plate에 한 well당 1×104개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 테스토스테론 (2 nM) 및 암라 추출물 또는 양성대조군인 Minoxidil (1 μM)을 처리하였다. 다시 24시간 배양 후 상등액 100 μl의 샘플과 표준 시약 (5α-reductase)을 분주한 플레이트를 37°C에서 12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용액을 제거한 플레이트에 100 μl의 detection reagent A를 첨가하여 37°C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용액을 제거한 뒤 3차례 세척한 후 100 μl의 detection reagent B를 첨가하여 37°C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용액 제거 후 5차례 세척한 후 90 μl의 TMB 기질 용액을 넣고 37°C에서 30분간 반응시켰으며, stop 용액을 50 μl 첨가하고 450 nm에서 값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테스토스테론 (2 nM)을 처리한 군 대비 5α-reductase의 활성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모유두세포의 성장억제인자로 알려져 있는 TGF-β1 및 DKK-1의 측정을 위하여 Human TGF-β1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USA) 및 Human DKK1-1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USA)를 사용하였다. 테스토스테론 (2nM) 및 암라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상등액과 표준 시약 100 μl을 첨가한 플레이트를 상온에서 150분 동안 반응시켰다. TGF-β1의 검출을 위하여 biotinylated TGF-β1 detection antibody 100 μl를 처리하였으며, DKK-1의 검출은 biotinylated DKK1 detection antibody를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4차례 washing 후 각각 HRP-Streptavidin solution을 100 μl씩 첨가하고 4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세척하고 TMB 용액으로 30분간 반응시킨 후 stop 용액을 50 μl 첨가하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테스토스테론 (2 nM)을 처리한 군 대비 TGF-β1과 DKK-1활성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모유두세포의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는 IGF-1 및 VEGF의 측정을 위하여 Human IGF-1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USA) 및 Human VEGF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USA를 사용하였다. 테스토스테론 (2nM) 및 암라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상등액과 표준 시약 100 μl을 첨가한 플레이트를 상온에서 150분 동안 반응시켰다. IGF-1의 검출을 위하여 biotinylated IGF-1 detection antibody 100 μl를 처리하였으며, VEGF의 검출은 biotinylated VEGF detection antibody를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4차례 washing 후 각각 HRP-Streptavidin solution을 100 μl씩 첨가하고 4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세척하고 TMB 용액으로 30분간 반응시킨 후 stop용액을 50 μl 첨가하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테스토스테론 (2 nM)을 처리한 군 대비 IGF-1과 VEGF 활성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모든 측정치는 Mean±SD로 나타내었고, 각 평균치 간 사이에 대한 유의성은 SPSS program (SPSS Inc. ver. 22.0)을 이용하여 ANOVA를 실시한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각 군의 평균 차이에 대한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5%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암라 추출물의 ellagic acid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으며, 암라 추출물의 총 ellagic aicd 함량은 8.9445 μg/mL이었다.
Table 2 . Ellagic acid content of amla extract
Amount (mg/g) | Average (mg/g) | SD | RSD | |
---|---|---|---|---|
1st | 8.8528 | 8.9445 | 0.19 | 2.12 |
2nd | 8.8179 | |||
3rd | 9.1627 |
인도의 전승의학 (傳承醫學)인 아유르베다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져 온 암라는 비타민 C와 폴리페놀이 풍부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탈모를 예방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오래 전부터 탈모 예방에 사용되어져 왔다 [19].
본 연구에서 암라 추출물이 모유두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토스테론을 처리하여 탈모조건을 형성시킨 후 암라 추출물을 농도별 (10, 30, 50, 100, 200 μg/ml)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다. 암라 추출물의 모든 처리농도에서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특히 50 μg/ml 농도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모유두세포의 증식능 (132±2.19)%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양성대조군인 MXD (1μM)의 123(±2.74)% 보다 높은 세포증식율을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MXD은 모유두세포의 apoptosis저하를 통해 모유두세포를 증식함이 보고되고 있다 [20]. Li등 [21]은 미녹시딜에 의해 유도 된 모발 성장은 배양된 모유두세포에서 아데노신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5α-reductase는 testosterone을 dehydro-testosterone (DHT)으로 치환을 촉진시켜 탈모를 유발 시키는 주요 인자이다 [4]. 전환된 DHT는 전두부와 두정부에 있는 모유두 세포막의 안드로젠 수용체와 결합하면 모모 세포 (Hair mother cells)의 DNA에 세포파괴 신호가 전달되어 세포괴사인자인 BMP, DKK-1, TGF-β를 생성시킨다 [22,23]. 이렇게 생성된 세포괴사인자는 모모세포를 공격하여 파괴시키며, 모발의 생장기를 짧게 하고 이른 시기에 퇴행기가 오게 한다. 5α-reductase는 주로 피지선에 분비되는 제1형과 모낭의 외측모근초, 모유두에 분포하는 제2형이 있으며 탈모에는 제2형 효소가 주된 원인이다. 따라서 5α-reductase를 억제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면 남성형 탈모와 같은 안드로젠성 탈모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으므로 5α-reductase 억제능 평가는 탈모 방지 효과 유무를 알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24].
테스토스테론을 처리하여 탈모 환경을 유발한 모유두세포에 암라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MXD와 비교한 5α-reductase의 활성을 Fig. 2에 나타내었다. 테스토스테론 단독처리군과 비교했을때, 암라 추출물 10 μg/ml처리시 81.73(±1.24)%, 30 μg/ml에서 63.55(±1.09)%, 50 μg/ml에서 44.08(±0.78)%, 100 μg/ml에서 47.03(±1.77)%의 활성을 나타내어, 5α-reductase 억제 효과는 암라추출물에 농도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0 μg/ml(44.08(±0.78)%)와 100 μg/ml(47.03(±1.77)%)의 두 농도가 농도 간 유의하지 않은 차이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TGF-β1은 outer root sheath (외모근초)에서 생성되어 정상적인 모낭의 성장기를 조기에 퇴행기로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것으로 알려진 인자이며 [25], DKK-1은 세포 괴사를 촉진하여 탈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negative cytokines 중의 하나로, 남성호르몬 (DHT) 유도물질인 DKK-1 단백질이 Wnt/β-catenin 신호 경로의 작용을 억제하여 탈모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6].
70% (v/v)의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암라 추출물을 testosterone을 처리하여 탈모 환경을 유발한 모유두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TGF-β1 & DKK-1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Fig. 3(A)와 3(B)에 제시되었다. TGF-β1의 경우 암라 시료를 10, 30, 50, 100 μg/ml 농도로 처리시, 각각 102.68(±2.55)% 93.30(±1.37)%, 88.30(±1.82)%, 83.72(±0.78)%로 나타나 농도가 높아질수록 TGF-β1의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군 (MXD(1μM))은 45.15(±1.6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Fig. 3(A)). 또한, DKK-1의 활성은 양성대조군인 MXD(1 μM)은 21.73(±0.49)%이었고, 암라의 농도별 (10, 30, 50, 100 μg/ml) 처리시 각각의 농도에서 116.14(±2.28)%, 101.27(±1.21)%, 96.53(±1.45)%, 99.26(±0.64)%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 3(B)). 이를 바탕으로 암라 추출물은 세포자살인자 (Cell Apoptosis Factor) 인 DKK-1, TGF-β1과 같은 모근세포 자살인자의 분비를 억제하여 탈모예방 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IGF-1은 모낭 및 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다 [27]. 또한 모낭이 성장기에서 퇴행기로 이행할 때 IGF-1을 첨가하면 퇴행기로의 이행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28]. 모유두세포의 세포사멸을 방지하며, 모유두세포에서 IGF-1 생성에 남성호르몬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29].
VEGF는 혈관 내피를 성장시켜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모발의 성장과 모근 세포의 분화를 유도시키는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모발 관련 연구에 적용되는 중요지표인자 중의 하나이다 [6].
Testosterone을 처리하여 탈모 환경을 유발한 모유두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암라 추출물을 처리하여 IGF-1과 VEGF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Fig. 4(A)와 4(B)에 제시되었다. 모낭 및 상피세포의 성장인자인 IGF-1의 활성은 암라 추출물 100 μg/ml을 처리하였을 때 132.14(±2.35)%로 가장 높은 IGF-1의 분비를 유도하였으며, 농도간의 유의차는 없었지만 모든 암라추출물 처리구간에서 IGF-1의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Fig. 4(A)). 또한 VEGF활성은 148.37(±1.19)%로 암라 추출물 50μg/ml 처리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Fig. 4(B)).
IGF-1과 VEGF 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암라 추출물은 상피세포의 성장 촉진을 유도하여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암라 추출물로 인간 모유두세포에서의 세포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50 μg/ml에서 세포증식효과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탈모 예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남성의 대표적 호르몬인 testosterone을 dehydrotestosterone (DHT)으로 치환하여 탈모를 유발시키는 5α-reductase의 활성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4]. TGF-β1은 정상적인 모낭의 성장기를 퇴행기로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5]. 또한 DKK-1은 세포의 괴사를 촉진함으로써 탈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negative cytokines 중의 하나이며, 이 단백질이 남성호르몬 (DHT) Wnt/β-catenin 신호경로의 작용을 억제하여 탈모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26]. 따라서 암라 추출물의 5α-reductase, TGF-β1, DKK-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이들 모두 암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이들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GF-1은 모낭 및 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성장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모유두세포의 세포사멸을 방지하고 모유두세포에서 IGF-1 생성에 남성호르몬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29]. 인간모유두세포에서 암라의 효능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IGF-1, 그리고 혈관 내피를 성장시켜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모발의 성장과 모근세포의 분화를 유도시키는 VEGF [6]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각각 50 μg/ml, 100 μg/ml 농도에서 발현율이 가장 높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랜시간 인도 아유르베다에서 이용되어온 암라의 경우 처방되는 치료약물과 같은 부작용은 없을 것이라고 추정되며,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모낭유도촉진 효과 등을 통해 암라 추출물이 우수한 탈모 예방 및 개선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 2021.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