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019; 34(2): 107-113
Published online June 30, 2019 https://doi.org/10.7841/ksbbj.2019.34.2.107
Copyright ©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Min Cheol Kim*, Jin Seok Moon, Young-Hoo Kim, Min-Goo Kim, Tae-Yoon Kim, and Ha-Young Park
ILDONG Pharmaceutical Co.Ltd., Seoul 06752, Korea
Correspondence to:*ILDONG Pharmaceutical Co.Ltd., Seoul 06752, Korea Tel:
Probiotics exert multiple beneficial bioactive effects on the human body, including activation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and suppression of harmful bacteria. However, the bioactive properties of probiotics are often lost after their ingestion due to chemical barriers in the gastrointestinal system, such as gastric and bile acid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quadruple coating technique for probiotics to prevent probiotics from being killed by external factors. Candidate coating mechanisms appropriate for the features of each coating stage were selected. The coating mechanism that led to the highest survival rate was chosen by quantifying the bacteria that survived after freeze-drying following coating. A quadruple coating technique was developed. Water-soluble polymer, hyaluronic acid, porous particles, and protein were applied at stages 1, 2, 3, and 4, respectively. Quadruple-coated probiotics -
Keywords: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는 ’적절한 양을 섭취했을 때 숙주 (사람)의 건강에 이로운 작용을 하는, 엄격히 선별된 생균’으로 정의된다 [1]. 특히, Lactobacillus나 Bifidobacterium 등으로 대변이되는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정장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2]. 프로바이오틱스는 사람의 장에 정착하여 장관운동 활성화, 유해균 억제 등 장 건강에의 유효성 외에도 알러지와 아토피 질병, 염증성 장질환, 과민성 장증후군 등의 대사증후군, 면역 증강, 호흡기 감염 등의 질환에있어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 특히, 최근에는 장내 미생물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장-뇌 축 (gut-brain axis)’, ‘장-간 축 (gut-liver axis)’등 장과 신체 기관을 연결시켜 병태 생리를 파악하는 이론이 제시되며, 장내 미생물로서 장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5,6].
한편,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fastidious)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며, 인체의 구조상 사람이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위산 또는 담즙 산으로 인해 사멸하여 프로바이오틱스 본래의 생리활성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7,8]. 따라서 생균으로서 섭취한 후, 사멸하지 않고 장까지 살아서 도달한 후 정착하도록 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프로바이오틱스를 코팅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기존의 코팅 기술로는 캡슐제를 이용한 마이크로캡슐화 (microencapsulation) 공정이 대표적이다 [9]. 코팅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캡슐은 보통 수 micron (μ)에서 1 mm 사이의 매우 작은 직경 (diameter)을 가진 고체 및 액체 core를 둘러싸는 반투성 (semipermeable) 또는 비투과성 (nonpermeable)의 구모양의 얇고 강한 막으로 구성되며, 캡슐화에 사용되는 물질들은 알긴산염 (alginate), 키토산 (chitosan),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carboxymethyl cellulose), 잔탄검 (xanthan gum), 녹말 (satach), 카라기난 (carrageenan), 젤라틴 (gelatin), 펙틴 (pectin)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전한 성분으로 인정받고 있다 [10-18]. 프로바이오틱스의 건조 균주를 캡슐화하기 위한 연구는 그 효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대부분 동결건조와 코팅으로 구분되는 2단계 이상의 공정이 제안되고 있다 [19-22]. 이러한 다단계 공정은 실제 생산 적용시 공정이 복잡하고, 높은 생존율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엄격한 공정기술이 확립되어야 한다 [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4가지 제제를 이용한 코팅을 통해 프로바이오틱스의 표면을 완전히 코팅하는 새로운 4중 코팅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서 제조된
1차 코팅은 외부 공기 유입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며 식품 및 의약품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기제로하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arboxymethylcellulose,C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 HEC), 검 (gum)계열의 폴리머로잔탄검 (xanthan gum, XG), 구아검 (guar gum, GG), 합성 폴리머계열로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ridone, PVP), 카보폴 (carbopol)의 폴리머 (polymer)들을 1차 박막코팅제 후보군으로 선정하였다. 후보 폴리머들은
2차 코팅은 수분 유지 및 장 점착력을 높일 목적으로 수분활성 조절기능의 천연 고분자물질인 히알루론산이 적용되었다.
3차 코팅제는 미로구조를 만들어 외부 수분 및 물질의 침투 차단을 하는 다공성 코팅물질로서 알기네이트 (alginate), 말토덱스트린 (maltodextrin, MD), 키토산 (chitosan), 전분 (starch),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glycol, PEG)을 선정 대상으로 하였다. 2차 코팅된
3차 코팅제의 공극을 채울 4차 코팅제 단백질의 후보로 탈지분유, 유청단백, 분리대두단백을 선정하였다. 4차 코팅제 단백질 선정 및 최적농도를 산출하기 위해
4중 코팅
4중 코팅
4중 코팅에 따른
4중 코팅에 따른
4중 코팅된
4중 코팅된 군과 비코팅, 단일, 2중, 3중 코팅 실험군을 365일 동안 4, 15, 25, 37℃에서 보관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원료 1 g 당 생균수를 측정하여 온도 별 경시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1차 코팅은 외부 공기 유입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1차 박막코팅제로는 프로바이오틱스 표면 접합력이 우수하여 코팅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2차 코팅제인 히알루론산과의 결합력이 우수한 바인더 (binder)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Table 1 . The first thin film coating agent selection
None | CMC | HEC | XG | GG | PVPK-30 | Carbopol | |
---|---|---|---|---|---|---|---|
Viability (%) | 33.4 | 51.4 | 48.9 | 45.7 | 48.6 | 72.5 | 62.5 |
CMC, Carboxymethyl cellulose; HEC, Hydroxyethylcellulose; XG, Xanthan gum; GG, Guar gum; PVPK-30, Polyvinylpyrroridone K-30
Table 2 .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first thin film coating agent selection
Viable count | |||
---|---|---|---|
PVPK-25 (×108 CFU/g) | PVPK-30 (×108 CFU/g) | PVPK-90 (×108 CFU/g) | |
None | 200 | 210 | 225 |
0.1 w/v (%) | 680 | 560 | 310 |
0.2 w/v (%) | 520 | 420 | 205 |
0.3 w/v (%) | 460 | 350 | 140 |
0.4 w/v (%) | 310 | 110 | 60 |
0.5 w/v (%) | 250 | 80 | 35 |
PVPK-25, Polyvinylpyrroridone K-25; PVPK-30, Polyvinylpyrroridone K-30; PVPK-90, Polyvinylpyrroridone K-90
2차 코팅은 수분 유지 및 장 점착력을 높일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따라서 2차 코팅제는 수분활성 조절기능있고 장 점착력이 있는 천연 고분자물질인 히알루론산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적 농도를 산출하기 위해 1차 코팅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 K-25의 농도에 따른 히알루론산 농도를 조합하여
Table 3 . Optimum concentration combination of polyvinylpyrroridone K-30& hyaluronic acid selection
PVPK-25 dose w/v(%) | Viable count | |||||
---|---|---|---|---|---|---|
Hyaluronic acid dose w/v(%) (×108 CFU of | ||||||
None | 0.001 | 0.002 | 0.003 | 0.004 | 0.005 | |
None | 200 | 350 | 335 | 280 | 270 | 150 |
0.1 | 680 | 760 | 715 | 695 | 630 | 570 |
0.2 | 520 | 630 | 570 | 550 | 490 | 455 |
0.3 | 460 | 515 | 520 | 480 | 475 | 430 |
0.4 | 310 | 430 | 420 | 350 | 330 | 280 |
0.5 | 250 | 380 | 370 | 310 | 260 | 180 |
2차 코팅된 균체에 다공성 입자성을 가진 기제의 코팅을 통해 미로구조를 만들어 외부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최적의 3차 코팅제를 선정하였다.
Table 4 . The third coating agent selection
Alginate | Maltodextrin | Chitosan | Starch | PEG | |
---|---|---|---|---|---|
Viability(%) | 74 | 85 | 71 | 65 | 68 |
PEG, polyethyleneglycol
Table 5 . Optimum concentration combination of hyaluronic acid & maltodextrin selection
Hyaluronic acid dose w/v(%) | Viable count | |||||
---|---|---|---|---|---|---|
Maltodextrin dose w/v(%) (×108 CFU of | ||||||
None | 0.001 | 0.002 | 0.003 | 0.004 | 0.005 | |
None | 200 | 350 | 335 | 280 | 270 | 150 |
0.1 | 680 | 760 | 715 | 695 | 630 | 570 |
0.2 | 520 | 630 | 570 | 550 | 490 | 455 |
0.3 | 460 | 515 | 520 | 480 | 475 | 430 |
0.4 | 310 | 430 | 420 | 350 | 330 | 280 |
0.5 | 250 | 380 | 370 | 310 | 260 | 180 |
3차 코팅제로 말토덱스트린 0.4%를 최적 농도로 선정한 후, 다공성 입자구조를 가진 말토덱스트린의 공극을 채워 위산과 담즙산으로부터 유산균을 보호할 목적으로 단백질의 종류를 선발하였다. 최적농도를 산출하기 위해 1~3차 코팅된 IDCC3302 균체와 후보 단백질 농도를 조합하여,
Table 6 . Selection of quaternary coating proteins and optimum concentration calculation
w/v (%) | |||
---|---|---|---|
Viable count | |||
Powdered skim milk (×108 CFU/g) | Milk serum protein (×108 CFU/g) | Soy protein isolate (×108 CFU/g) | |
None | 200 | 200 | 200 |
2 | 210 | 280 | 250 |
4 | 225 | 325 | 265 |
6 | 290 | 380 | 260 |
8 | 310 | 310 | 275 |
10 | 250 | 305 | 280 |
조제한 4중 코팅
소화관 중 위 (stomach)에 프로바이오틱스 제제가 통과할 때 위산 (gastric acid)에 노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환경을 시험관 조건에서 구현하여 비코팅, 단일 코팅, 2중 코팅, 3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과 4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의 내산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H 2.3과 2.5로 2시간 노출시켰을 때, 비코팅
담즙산 (bile acid)은 간 (liver)에서 만들어져 담도로 빠져나와 소장 (small intestine)으로 흘러나오고 소장 말단의 회장 (ileum)에서 다시 95%흡수되어 다시 간으로 들어가는 장관 순환을 한다. 이 과정에서 소장에 정착한 프로바이오틱스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환경을 시험관 조건에서 구현하여 비코팅, 단일 코팅, 2중 코팅, 3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과 4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의 내담즙산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4중 코팅된 실험구가 비코팅, 단일, 2중, 3중코팅 실험군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내담즙산성을 나타내었다 (Fig. 3).
프로바이오틱스의 원료 조제방식 중 균일한 입자 모양을 만들거나, 분무건조를 하기 위해서는 액상으로 캐리어 (carrier)에 분무후 50℃ 정도에서 공기 중에서 건조하게 된다. 이때 프로바이오틱스는 대부분 열에 약하거나 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장시간 노출시 사멸하게 된다. 비코팅, 단일 코팅, 2중 코팅, 3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과 4중코팅된 프로바이오틱스의 열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동결 시 4중 코팅된 군의 생존율이 비코팅 군의 생존율 보다 46% 증가하였고, 50℃ 열풍건조 동안 4중 코팅된 군의 생존율이 비코팅 군의 생존율 보다 43%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
4, 15, 25, 37℃ 보관을 365일간 지속한 후, 4중코팅된 군과 비코팅 군 원료의 생존균수를 분석한 결과, 4중코팅된 군이 비코팅 군에 비하여 각 온도 별로 약 28, 34, 28, 29% 생존율이 높았다. (Fig. 5).
본 연구에서 개발한 4중 코팅 기술을
프로바이오틱스는 섭취하여 장까지 살아서 도달한 후 정착, 생장을 통해 최대의 건강 이득 (health benefit)을 제공할 수 있다. 위와 십이지장을 거치면서 여러 가지 생물학적 소화반응을 견뎌 내고 회장과 같은 소장의 말단이나 대장에 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조 공정은 배양, 회수, 동결건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배양 후 공정에서 산소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균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더불어 공기 중의 수분, 온도 조건 등은 균의 저장과 안정성 및 2차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 과정에서 가공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고품질의 균주가 되기 위해서는 섭취 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체내 안정성) 강화되어야 하며, 높은 가공 및 유통 안정성을 위한 보호장치가 요구된다 [2].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바이오틱스의 4중 코팅 기술은 프로바이오틱스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체내 안정성)을 강화하여, 저온 또는 고온으로 인한 사멸을 막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기술을 산업 현장에서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 등 제품 생산에 활용할 경우,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높은 장내 정착률과 유통과정에서의 안정성 유지를 통해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성과 품질을 보장하여 제품 경쟁 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외부 요인에 의해 사멸되는 것을 막기위하여 4중 코팅된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바이오틱스를 수용성 폴리머 (1단계), 히알루론산 (2단계), 다공성 입자 (3단계), 단백질 (4단계)를 이용하여 4중 코팅하는 방법이 도출되었다. 4중 코팅된 프로바이오틱스
© 2021.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