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pISSN 1225-7117 eISSN 2288-8268

Article

Home All Articles View

Research Paper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019; 34(2): 107-113

Published online June 30, 2019 https://doi.org/10.7841/ksbbj.2019.34.2.107

Copyright ©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프로바이오틱스의 위장관 안정성 및 생존성 개선을 위한 4중 코팅 효과 분석

Analysis of Quadruple Coating for Improvement in Improving Gastrointestinal Stability and Survivability of Probiotics

Min Cheol Kim*, Jin Seok Moon, Young-Hoo Kim, Min-Goo Kim, Tae-Yoon Kim, and Ha-Young Park

ILDONG Pharmaceutical Co.Ltd., Seoul 06752, Korea+82-2-526-3619+82-02-526-3037mchola@ildong.com

Correspondence to:*ILDONG Pharmaceutical Co.Ltd., Seoul 06752, Korea Tel: +82-2-526-3619, Fax: +82-02-526-3037, e-mail: mchola@ildong.com

Received: April 16, 2019; Revised: May 13, 2019; Accepted: May 13, 2019

Probiotics exert multiple beneficial bioactive effects on the human body, including activation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and suppression of harmful bacteria. However, the bioactive properties of probiotics are often lost after their ingestion due to chemical barriers in the gastrointestinal system, such as gastric and bile acid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quadruple coating technique for probiotics to prevent probiotics from being killed by external factors. Candidate coating mechanisms appropriate for the features of each coating stage were selected. The coating mechanism that led to the highest survival rate was chosen by quantifying the bacteria that survived after freeze-drying following coating. A quadruple coating technique was developed. Water-soluble polymer, hyaluronic acid, porous particles, and protein were applied at stages 1, 2, 3, and 4, respectively. Quadruple-coated probiotics - Lactobacillus acidophilus IDCC3302 demonstrated superior acid and bile tolerance with lower death rate at low and high temperatures compared with noncoated, single-coated, double-coated, and triple-coated probiotics. In conclusion, the quadruple-coating techniqu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the production of probiotics while preserving the bioactive functions of the probiotics.

Keywords: Lactobacillus acidophilus IDCC3302, quadruple coating technology, gQlab, probiotics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는 ’적절한 양을 섭취했을 때 숙주 (사람)의 건강에 이로운 작용을 하는, 엄격히 선별된 생균’으로 정의된다 [1]. 특히, Lactobacillus나 Bifidobacterium 등으로 대변이되는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정장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2]. 프로바이오틱스는 사람의 장에 정착하여 장관운동 활성화, 유해균 억제 등 장 건강에의 유효성 외에도 알러지와 아토피 질병, 염증성 장질환, 과민성 장증후군 등의 대사증후군, 면역 증강, 호흡기 감염 등의 질환에있어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 특히, 최근에는 장내 미생물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장-뇌 축 (gut-brain axis)’, ‘장-간 축 (gut-liver axis)’등 장과 신체 기관을 연결시켜 병태 생리를 파악하는 이론이 제시되며, 장내 미생물로서 장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5,6].

한편,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fastidious)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며, 인체의 구조상 사람이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위산 또는 담즙 산으로 인해 사멸하여 프로바이오틱스 본래의 생리활성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7,8]. 따라서 생균으로서 섭취한 후, 사멸하지 않고 장까지 살아서 도달한 후 정착하도록 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프로바이오틱스를 코팅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기존의 코팅 기술로는 캡슐제를 이용한 마이크로캡슐화 (microencapsulation) 공정이 대표적이다 [9]. 코팅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캡슐은 보통 수 micron (μ)에서 1 mm 사이의 매우 작은 직경 (diameter)을 가진 고체 및 액체 core를 둘러싸는 반투성 (semipermeable) 또는 비투과성 (nonpermeable)의 구모양의 얇고 강한 막으로 구성되며, 캡슐화에 사용되는 물질들은 알긴산염 (alginate), 키토산 (chitosan),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carboxymethyl cellulose), 잔탄검 (xanthan gum), 녹말 (satach), 카라기난 (carrageenan), 젤라틴 (gelatin), 펙틴 (pectin)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안전한 성분으로 인정받고 있다 [10-18]. 프로바이오틱스의 건조 균주를 캡슐화하기 위한 연구는 그 효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대부분 동결건조와 코팅으로 구분되는 2단계 이상의 공정이 제안되고 있다 [19-22]. 이러한 다단계 공정은 실제 생산 적용시 공정이 복잡하고, 높은 생존율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엄격한 공정기술이 확립되어야 한다 [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4가지 제제를 이용한 코팅을 통해 프로바이오틱스의 표면을 완전히 코팅하는 새로운 4중 코팅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서 제조된 Lactobacillus acidophilus IDCC3302 (L. acidophilus IDCC 3302)의 위장관 안정성 및 생존성 개선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1. 1차 박막코팅제

1차 코팅은 외부 공기 유입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며 식품 및 의약품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기제로하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arboxymethylcellulose,C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 HEC), 검 (gum)계열의 폴리머로잔탄검 (xanthan gum, XG), 구아검 (guar gum, GG), 합성 폴리머계열로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ridone, PVP), 카보폴 (carbopol)의 폴리머 (polymer)들을 1차 박막코팅제 후보군으로 선정하였다. 후보 폴리머들은 L. acidophilus IDCC3302 배양액 100 mL 당 각각 0.2 g 씩 첨가하고, 1차 박막코팅된 프로바이오틱스를 분산매에 현탁시켜, −70℃ deep freezer에 3시간 동안 냉동시켰다. 냉동 1차 박막코팅 프로바이오틱스 샘플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시킨 후, 생존균수를 측정하여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인 실험군을 1차 박막코팅 결합제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폴리머는 다양한 농도에서의 평가를 통해 최적 농도를 탐색하였다.

2.2. 2차 코팅제 히알루론산의 최적농도

2차 코팅은 수분 유지 및 장 점착력을 높일 목적으로 수분활성 조절기능의 천연 고분자물질인 히알루론산이 적용되었다. L. acidophilus IDCC3302의 표면 부착 1차 코팅제를 선정한 후, 2차 코팅제로서 히알루론산의 최적 농도를 산출하기위해 1차 코팅제의 농도에 따른 히알루론산 농도를 조합하여 L. acidophilus IDCC3302의 2차 코팅 원료를 준비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시킨 후, 생균수를 MRS agar plate에서 각각 평가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L. acidophilus IDCC 3302 배양액 100 mL 당 1차 코팅제 폴리머를 0.1 g 내지 0. 5g 씩 첨가하고, 히알루론산은 0.001 g 내지 0.005 g 을 첨가하였다.

2.3. 3차 코팅제 선정 및 최적농도

3차 코팅제는 미로구조를 만들어 외부 수분 및 물질의 침투 차단을 하는 다공성 코팅물질로서 알기네이트 (alginate), 말토덱스트린 (maltodextrin, MD), 키토산 (chitosan), 전분 (starch),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glycol, PEG)을 선정 대상으로 하였다. 2차 코팅된 L. acidophilus IDCC3302 구조체에 상기 3차 코팅제를 균주 배양액 100 mL 당 0.1 g 되게 첨가하여 균일화시킨 후 3차코팅이 되도록 하였다. 3차 코팅된 균체를 분산매에 현탁시켜, −70℃ deep freezer에 3시간 동안 냉동시켰다. 냉동된 3차 코팅 프로바이오틱스 샘플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시킨 후, 생존균수를 측정하여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인 실험군을 3차 코팅제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3차 코팅제와 2차 코팅제인 히알루론산과의 가장 최적의 결합효율을 구성하기 위해 히알루론산 농도에 따른 3차코팅제 농도를 조합하여 L. acidophilus IDCC3302의 3차 코팅 원료를 조제한 후, 생균수를 MRS agar plate에서 각각 평가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배양액 100 mL 당 히알루론산은 0.001 g 내지 0.005 g 을 첨가하고, 3차 코팅제를 0.1 g 내지 0.5 g을 첨가하였다.

2.4. 4차 코팅제 단백질의 선정 및 최적농도

3차 코팅제의 공극을 채울 4차 코팅제 단백질의 후보로 탈지분유, 유청단백, 분리대두단백을 선정하였다. 4차 코팅제 단백질 선정 및 최적농도를 산출하기 위해 L. acidophilus IDCC3302 배양액 100 mL 당 2 g 내지 10 g을 각각 첨가하여 4차 코팅 원료를 조제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화시킨 후, 생균수를 MRS agar plate에서 각각 평가하여 4차 코팅제 및 최적농도를 최종 선정하였다.

2.5. 전자현미경 (FE-SEM) 구조분석

4중 코팅 L. acidophilus IDCC3302의 성상을 조제 공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자현미경촬영을 통해 구조적 분석을 하였다.

2.6. 4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 대량생산

4중 코팅 L. acidophilus IDCC3302의 대량 생산시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코팅 L. acidophilus IDCC3302와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생산규모는 1 ton 발효탱크에서 37℃, overnight (16시간) 배양을 하였다. 균체 회수 후, 1차~4차 코팅제를 처리하여 4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 원료를 조제하였다. 대조군인 비코팅 원료는 통상적인 원료 조제공정에 따라 조제하였다.

2.7. 내산성 (Acid tolerance)

4중 코팅에 따른 L. acidophilus IDCC3302의 내산성 평가를 위해 MRS 배지에 10% HCl 를 적하하여 pH를 2.3, 2.5으로 적정한 다음, 멸균하여 사용하였으며, 시료 1 g을 각각의 pH로 보정된 MRS 배지에 넣어 0시간, 1시간,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균수 분석을 하였다.

2.8. 내담즙산성 (Bile tolerance)

4중 코팅에 따른 L. acidophilus IDCC3302의 담즙산에 노출 시 내담즙산성을 시험관 환경에서 평가하기 위해 담즙산 0.3%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와 첨가된 배지를 멸균하여 사용하여 각각의 배지에 4중 코팅된 프로바이오틱스와 비코팅, 단일, 2중, 3중 코팅 시료 1 g을 각각 접종하고, 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0.9% NaCl 용액을 희석수로 사용하여 생균수 분석을 하였다.

2.9. 동결 및 열풍 건조 시 생존율 비교

4중 코팅된 L. acidophilus IDCC3302의 동결 및 열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4중코팅군과 비코팅, 단일, 2중, 3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을 –70℃와 50℃에서 3시간 노출시켜 건조시켜 원료를 조제하였다. 이를 위해 균체 회수 후, 1차~4차 코팅제를 처리하여 원료 조제하였다. 대조군인 비코팅 원료는 통상적인 원료 조제공정에 따라 조제하였다. 건조된 각각의 시료 1 g을 채취하여 생균수 분석을 하였다.

2.10. 온도별 안정성

4중 코팅된 군과 비코팅, 단일, 2중, 3중 코팅 실험군을 365일 동안 4, 15, 25, 37℃에서 보관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원료 1 g 당 생균수를 측정하여 온도 별 경시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3.1. 1차 박막코팅제

1차 코팅은 외부 공기 유입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1차 박막코팅제로는 프로바이오틱스 표면 접합력이 우수하여 코팅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2차 코팅제인 히알루론산과의 결합력이 우수한 바인더 (binder)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L. acidophilus IDCC3302 배양액에서의 생존균수 측정 시험 결과, 의약품 및 식품에서 결합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다른 폴리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제조공정에서 유입되는 수분, 공기등의 위협인자에 대해 효율이 높은 방어기작을 나타내어 1차 박막코팅제로 선정되었다 (Table 1). 선정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중합도에 따라 폴리비닐피롤리돈 K-25, K-30, K-90으로 구분하여, L. acidophilus IDCC3302 배양액에서의 생존균수를 측정한 결과, 폴리비닐피롤리돈 K-25를 L. acidophilus IDCC3302 균체에 0.1% 농도를 사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생존균수를 나타내었다 (Table 2).

Table 1 . The first thin film coating agent selection

NoneCMCHECXGGGPVPK-30Carbopol
Viability (%)33.451.448.945.748.672.562.5

CMC, Carboxymethyl cellulose; HEC, Hydroxyethylcellulose; XG, Xanthan gum; GG, Guar gum; PVPK-30, Polyvinylpyrroridone K-30


Table 2 .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first thin film coating agent selection

Viable count
PVPK-25
(×108 CFU/g)
PVPK-30
(×108 CFU/g)
PVPK-90
(×108 CFU/g)
None200210225
0.1 w/v (%)680560310
0.2 w/v (%)520420205
0.3 w/v (%)460350140
0.4 w/v (%)31011060
0.5 w/v (%)2508035

PVPK-25, Polyvinylpyrroridone K-25; PVPK-30, Polyvinylpyrroridone K-30; PVPK-90, Polyvinylpyrroridone K-90


3.2. 2차 코팅제 히알루론산의 최적농도

2차 코팅은 수분 유지 및 장 점착력을 높일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따라서 2차 코팅제는 수분활성 조절기능있고 장 점착력이 있는 천연 고분자물질인 히알루론산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적 농도를 산출하기 위해 1차 코팅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 K-25의 농도에 따른 히알루론산 농도를 조합하여 L. acidophilus IDCC3302 배양액에서의 생존균수 측정 시험 결과, 폴리비닐피롤리돈 K-25 0.1 w/v (%)와 히알루론산 0.001 w/v (%)를 사용하여 2차 코팅한 L. acidophilus IDCC3302의 발현균수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어 최적 농도로서 도출되었다 (Table 3).

Table 3 . Optimum concentration combination of polyvinylpyrroridone K-30& hyaluronic acid selection

PVPK-25
dose w/v(%)
Viable count
Hyaluronic acid dose w/v(%) (×108 CFU of L. acidophilus IDCC 3302/g)
None0.0010.0020.0030.0040.005
None200350335280270150
0.1680760715695630570
0.2520630570550490455
0.3460515520480475430
0.4310430420350330280
0.5250380370310260180

3.3. 3차 코팅제 선정 및 최적농도

2차 코팅된 균체에 다공성 입자성을 가진 기제의 코팅을 통해 미로구조를 만들어 외부 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최적의 3차 코팅제를 선정하였다. L. acidophilus IDCC3302 배양액에서의 생존균수 측정 시험 결과, 3차 코팅제의 마이크로캡슐화 효과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기제로 말토덱스트린이 선정되었다 (Table 4). 선정된 3차 코팅제인 말토덱스트린과 2차 코팅제인 히알루론산과의 가장 최적의 결합을 구성하기 위해 히알루론산 농도에 따른 말토덱스트린 농도를 조합하여, L. acidophilus IDCC 3302 배양액에서의 생존균수 측정 시험 결과, 히알루론산 0.001 w/v (%)와 말토덱스트린 0.4 w/v (%)를 사용하여 3차 코팅한 L.acidophilus IDCC3302의 발현균수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Table 5).

Table 4 . The third coating agent selection

AlginateMaltodextrinChitosanStarchPEG
Viability(%)7485716568

PEG, polyethyleneglycol


Table 5 . Optimum concentration combination of hyaluronic acid & maltodextrin selection

Hyaluronic acid
dose w/v(%)
Viable count
Maltodextrin dose w/v(%) (×108 CFU of L. acidophilus IDCC 3302/g)
None0.0010.0020.0030.0040.005
None200350335280270150
0.1680760715695630570
0.2520630570550490455
0.3460515520480475430
0.4310430420350330280
0.5250380370310260180

3.4. 4차 코팅제 단백질의 선정 및 최적농도

3차 코팅제로 말토덱스트린 0.4%를 최적 농도로 선정한 후, 다공성 입자구조를 가진 말토덱스트린의 공극을 채워 위산과 담즙산으로부터 유산균을 보호할 목적으로 단백질의 종류를 선발하였다. 최적농도를 산출하기 위해 1~3차 코팅된 IDCC3302 균체와 후보 단백질 농도를 조합하여, L. acidophilus IDCC3302 배양액에서의 생존균수 측정 시험 결과, 유청단백을 6 w/v (%) 사용하였을 때 4차 코팅한 L. acidophilus IDCC3302의 발현균수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Table 6).

Table 6 . Selection of quaternary coating proteins and optimum concentration calculation

w/v
(%)
Viable count
Powdered skim milk
(×108 CFU/g)
Milk serum protein
(×108 CFU/g)
Soy protein isolate
(×108 CFU/g)
None200200200
2210280250
4225325265
6290380260
8310310275
10250305280

3.5. 전자현미경 (FE-SEM) 구조분석 결과

조제한 4중 코팅 L. acidophilus IDCC3302의 성상을 조제 공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자현미경 촬영을 통해 구조적 분석을 한 결과, 유산균에 폴리비닐피롤리돈 K-25를 혼합하는 경우에, 유산균체 표면을 폴리비닐피롤리돈 K-25가 필름과 같은 박막을 형성하면서 코팅된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Fig. 1 (b)).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 K-25와 히알루론산이 혼합되면서 구조적으로 히알루론산 구조가 더욱 조밀해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Fig. 1 (c)), 다공성 입자구조인 말토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외부 수분과 온도가 쉽게 균체에 전달되지 않게 하고 (Fig. 1 (d)), 마지막으로 유청단백으로 코팅을 진행하면서 균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되었다 (Fig. 1 (e)).

Figure 1.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structure analysis according to coating step. (a):Control (b): 1st coating, (c): 2nd coating, (d): 3rd coating, (e): 4th coating.
3.6. 내산성 (Acid tolerance) 평가 결과

소화관 중 위 (stomach)에 프로바이오틱스 제제가 통과할 때 위산 (gastric acid)에 노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환경을 시험관 조건에서 구현하여 비코팅, 단일 코팅, 2중 코팅, 3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과 4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의 내산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H 2.3과 2.5로 2시간 노출시켰을 때, 비코팅 L. acidophilus IDCC3302에 비해 4중 코팅된 군이 약 40%이상의 높은 내산성을 나타내었다 (Fig. 2).

Figure 2. Acid resistance evaluation result of non-coated, single, double, triple, and quadruple coating IDCC3302. (a): pH 2.3, (b): pH 2.5.
3.7. 내담즙산성 (Bile tolerance) 평가 결과

담즙산 (bile acid)은 간 (liver)에서 만들어져 담도로 빠져나와 소장 (small intestine)으로 흘러나오고 소장 말단의 회장 (ileum)에서 다시 95%흡수되어 다시 간으로 들어가는 장관 순환을 한다. 이 과정에서 소장에 정착한 프로바이오틱스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환경을 시험관 조건에서 구현하여 비코팅, 단일 코팅, 2중 코팅, 3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과 4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의 내담즙산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4중 코팅된 실험구가 비코팅, 단일, 2중, 3중코팅 실험군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내담즙산성을 나타내었다 (Fig. 3).

Figure 3. Bile tolerance evaluation result of non-coated, single, double, triple, and quadruple coating IDCC3302.
3.8. 동결 및 열풍 건조 시 생존율 비교

프로바이오틱스의 원료 조제방식 중 균일한 입자 모양을 만들거나, 분무건조를 하기 위해서는 액상으로 캐리어 (carrier)에 분무후 50℃ 정도에서 공기 중에서 건조하게 된다. 이때 프로바이오틱스는 대부분 열에 약하거나 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장시간 노출시 사멸하게 된다. 비코팅, 단일 코팅, 2중 코팅, 3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군과 4중코팅된 프로바이오틱스의 열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동결 시 4중 코팅된 군의 생존율이 비코팅 군의 생존율 보다 46% 증가하였고, 50℃ 열풍건조 동안 4중 코팅된 군의 생존율이 비코팅 군의 생존율 보다 43%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

Figure 4. Viability test results of non-coated, single, double, triple, and quadruple coating IDCC3302 on 50℃ hot air drying and on -70℃ freeze-drying
3.9. 온도 별 안정성

4, 15, 25, 37℃ 보관을 365일간 지속한 후, 4중코팅된 군과 비코팅 군 원료의 생존균수를 분석한 결과, 4중코팅된 군이 비코팅 군에 비하여 각 온도 별로 약 28, 34, 28, 29% 생존율이 높았다. (Fig. 5).

Figure 5. Viability of non-coated, single coating, double coating, triple coating, and quadruple coating during 12 months storage period at (a): 4, (b): 15, (c): 25, and (d): 37℃.
3.10. 4중 코팅 기술의 적용

본 연구에서 개발한 4중 코팅 기술을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gasseri, Lactobacillus helvet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rum, Lactobacillus reuteri,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breve, Bifidobacterium infantis, Bifidobacterium lactis, Bifidobacterium longum, Streptococcus faecalis, Streptococcus faecium 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 본 연구의 L. acidophilus IDCC3302에 대한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4중 코팅을 한 경우가 비코팅한 경우 대비 내산성, 내담즙산성, 동결 및 열풍 건조 시 생존율, 온도별 안정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24].

3.11. 4중 코팅 기술의 기대효과

프로바이오틱스는 섭취하여 장까지 살아서 도달한 후 정착, 생장을 통해 최대의 건강 이득 (health benefit)을 제공할 수 있다. 위와 십이지장을 거치면서 여러 가지 생물학적 소화반응을 견뎌 내고 회장과 같은 소장의 말단이나 대장에 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조 공정은 배양, 회수, 동결건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배양 후 공정에서 산소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균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더불어 공기 중의 수분, 온도 조건 등은 균의 저장과 안정성 및 2차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 과정에서 가공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고품질의 균주가 되기 위해서는 섭취 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체내 안정성) 강화되어야 하며, 높은 가공 및 유통 안정성을 위한 보호장치가 요구된다 [2].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바이오틱스의 4중 코팅 기술은 프로바이오틱스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체내 안정성)을 강화하여, 저온 또는 고온으로 인한 사멸을 막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기술을 산업 현장에서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 등 제품 생산에 활용할 경우,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높은 장내 정착률과 유통과정에서의 안정성 유지를 통해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성과 품질을 보장하여 제품 경쟁 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가 외부 요인에 의해 사멸되는 것을 막기위하여 4중 코팅된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바이오틱스를 수용성 폴리머 (1단계), 히알루론산 (2단계), 다공성 입자 (3단계), 단백질 (4단계)를 이용하여 4중 코팅하는 방법이 도출되었다. 4중 코팅된 프로바이오틱스 L. acidophilus IDCC3302는 평가결과, 기존의 비코팅, 단일, 2중, 3중 코팅 프로바이오틱스 군에 비하여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였고, 저온 또는 고온으로 인한 사멸율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바이오틱스의 4중 코팅 기술은 프로바이오틱스의 생리활성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 산업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 제품 생산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1. FAO/WH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Report of a Joint FAO/WHO Working Group on Drafting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April 30 - May
  2. Seo, J. G., G. S. Lee, J. E. Kim, and M. J. Chung (2010) Development of Probiotic Products and Challenges. KSBB J. 25: 303-310.
  3. Ji, K. U. (2005) The Global Trends in Evaluation and Regulations of Intestine-related Functional Foods. J. Korean Med. Assoc. 48:547-552.
    CrossRef
  4. Yang, J. O. (2014)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Probiotic Research and Industrialization. Food Sci. Ind. 47:29-44.
  5. Carabotti, M., A. Scirocco, M. A. Maselli, and C. Severi (2015) The gut-brain axis: interactions between enteric microbiota, central and enteric nervous systems. Ann Gastroenterol. 28: 203–209.
  6. Bajaj, J. S. (2019) Alcohol, liver disease and the gut microbiota.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16: 235-246.
    CrossRef
  7. Yun, H. J., Y. J. Lee, S. H. Yeo, H. Y. Park, H. D. Park, and S. Y. Baek (201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190-197.
    CrossRef
  8. Hood, S. K and E. A. Zittola (1998) Effect of low pH on the abil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to survive and adhere to human intestinal cells. J. Food Sci. 53: 1514-1516.
  9. Petrovic, T., V. Nedovic, S. Dimitrijevic-Brankovic, B. Bugarski, and C. Lacroix (2007) Protection of probiotic microorganisms by microencapsulation. Chem. Ind. Chem. Eng. Q. 13: 169-174.
    CrossRef
  10. Ei-salam, M.H and S. Ei-shibiny (2012) Formation and potential uses of milk proteins as nano delivery vehicles for nutraceuticals: a review. Int. J. Dairy Technol. 65: 13-21.
  11. Sultana, K., G. Godward, N. Reynolds, R. Arumugaswamy, P. Peiris, and K. Kailasapathy (2000) Encapsulation of probiotic bacteria with alginate-starch and evaluation of survival in simulated gastrointestinal conditions and in yoghurt. Int. J. Food Microbiol. 62: 47-55.
    CrossRef
  12. Muthukumarasamy, P., P. Allan-Wojtas, and R.A. Holley (2006) Stability of Lactobacillus reuteri in different types of microcapsules. J. Food. Sci. 71: 20-24.
    CrossRef
  13. Anal, A. K. and H. Singh (2007) Recent advances in microencapsulation of probiotic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and targeted delivery. Trends Food Sci. Technol. 18: 240-251.
    CrossRef
  14. Ding, W. K. and N. P. Shah (2009) Effect of various encapsulating materials on the stability of probiotic bacteria. Food Sci. 74: M100-M107.
    CrossRef
  15. Mokarram, R. R., S. A. Mortazavi, M. B. H. Najafi, and F. Shahidi (2009) The influence of multistage alginate coating on survivability of potential probiotic bacteria in simulated gastric and intestinal juice. Food Res. Int. 42: 1040-1045.
    CrossRef
  16. Chavarri, M., I. Maranon, R. Ares, F. C. Ibanez, F. Marzo, and C. Villaran Mdel (2010) Microencapsulation of a probiotic and prebiotic in alginate-chitosan capsules improves survival in simulated gastro-intestinal conditions. Int. J. Food Microbiol. 142: 185-189.
  17. Cook M. T., G. Tzortzis, D. Charalampopoulos, and V. V. Khutoryanskiy (2011)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dry alginate-chitosan microcapsules as an enteric delivery vehicle for probiotic bacteria. Biomacromolecules. 12: 2834-2840.
  18. Cook M. T., G. Tzortzis, V. V. Khutoryanskiy, and D. Charalampopoulos (2013) Layer-by-layer coating of alginate matrices with chitosan-alginate for the improved survival and targeted delivery of probiotic bacteria after oral administration. J. Mat. Chem. B. 1: 52-60
  19. Kwak, H. S. and A. Feucht (2013) Microencaps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 33: 229-238.
  20. Burgain, J., C. Gaiani, M. Linder, and J. Scher (2011) Encapsulation of probiotic living cells: From laboratory scale to industrial applications. J. Food Eng. 104: 467-483.
    CrossRef
  21. Heidebach, T., P. Forst, and U. Kulozik (2010) Influence of casein-based microencapsulation on freeze-drying and storage of probiotic cells. J. Food Eng. 98: 309-316.
    CrossRef
  22. Cook, M. T., G. Tzortzis, D. Charalampopoulos, and V. V. Khutoryanskiy (2014) Microencapsulation of a synbiotic into PLGA/alginate multiparticulate gels. Int. J. Pharm. 466: 400-408.
    CrossRef
  23. Jeong, E. J., D. W. Moon, J. S. Oh, J. S. Moon, K. Y. Kim, H. S. Choi, and N. S. Han (2015) Analysis of ingredient mixtures for cryoprotection and gastrointestinal stability of probiotics. KSBB J. 30: 109-113.
    CrossRef
  24. Lee, S. H., D. J. Kang, and J. H. Kang (2011)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quadruple coated lactic acid bacterium and production of quadruple coated lactic acid bacterium. Korean Patent 10-2011-0134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