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020; 35(1): 89-94
Published online March 31, 2020 https://doi.org/10.7841/ksbbj.2020.35.1.89
Copyright ©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iyoung Choi, Hojin Myung, and Hee Jeong Chae*
School of Food & Pharmaceutical Engineering &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Asan 31499, Korea
Correspondence to:School of Food & Pharmaceutical Engineering &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Asan 31499, Korea Tel :
Antibacterial activities of various essential oils against
Keywords: clove oil, essential oil,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ral bacteria, stability
세계적으로 성인의 60%에 해당되는 인구가 치아우식증 및 치주 질환 등의 구강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구강은 외계와 직접적으로 통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미생물에 노출되어 있고 구강 환경은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기 때문에 많은 유해 세균이 정착하여 서식하고 있다. 치아우식증은 흔히 충치 (dental caries, 蟲齒)라고 불리우며, 구강 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질환이다. 감염성 질환의 하나인 충치는 음식물, 타액, 치석 내 세균의 상호 작용으로 유발되며, 치아의 경조직이 침식되어 결손이 일어나게 한다[2]. 충치는 당의 함량이 높은 음료류와 인스턴트 가공식품의 섭취가 늘고, 서구화된 식생활 등으로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구강 미생물이 일으키는 구강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방법인 양치질, 치실, 치간 칫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거나 의약외품인 구강청결제와 같은 화학적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구강청결제는 입안의 청량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구강 내 구취나 염증을 유발하는 미생물을 사멸함으로써 구취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어 구강보조용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구강청결제에 많이 이용되는 항균 물질로는 불소 (fluorine), 염화세틸피리디늄 (cetylpyridinium chloride),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 트리클로산(triclosan) 등이 있다 [3]. 이러한 항균 물질은 모두 화학 제제이며 혀의 착색, 치아 변색, 점막 자극 과민증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천연물의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구강 미생물은 충치의 대표 원인균으로 널리 알려진
식물의 꽃, 잎, 줄기, 뿌리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또는 식물 정유라고 한다. 식물의 종류 및 부위에 따라 특유의 향기를 갖고 여러 가지 생리적인 기능을 갖는다 [6]. 에센셜 오일은 에스테르 (ester), 케톤 (ketone), 알데하이드 (aldehyde), 알코올 (alcohol)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물질은 테르펜 (terpene)계 물질이다 [7]. 구성물질에 따라 항균 [8], 항진균 [9], 항염, 항산화 [10] 등의 다양한 효능들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에센셜 오일을 구강에 투여할 경우 구강 편평암 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갖는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며 [7], 에센셜 오일이 함유된 구강 함수용액을 사용할 경우 연쇄상구균 및 연쇄상뮤턴스균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11], 구취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12]. 항산화, 항균 등의 생리활성이 높은 에센셜 오일은 식품뿐만 아니라 화장품, 제약, 위생용품, 의약외품 산업에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에센셜 오일 17종은 자몽 (grapefruit), 라벤더 (lavender), 라임 (lime), 레몬 (lemon), 레몬글라스 (lemongrass), 로즈마리 (rosemary), 만다린 (mandarin), 미르 (myrrh), 바질 (basil), 베르가못 (bergamot), 당귤 (sweet orange), 스피어민트 (spearmint), 시나몬 (cinnamon), 제라늄 (geranium), 클로브 (clove), 파인 (pine), 페퍼민트 (peppermint)의 에센셜 오일이었으며, 영국 Kerfoot사 (North Yorkshire, UK)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에센셜 오일 가용화 시 사용한 Tween 20 (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laurate)과 Tween 80 (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oleate)은 Sigma사 (MO, USA)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시료의 희석용 용매로 Sigma사 (MO, USA)의 dimethyl sulfoxide (DMSO)를 사용하고, 그 밖의 시약은 1급 이상의 것을 사용하였다.
구강 세균에 대한 에센셜 오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생물자원센터 (KCTC)에서 5종의 균주 (
에센셜 오일 100 μL에 Tween 20과 Tween 80을 각각 50 μL씩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Vortex mixer를 이용하여 vortexing한 후 증류수 800 μL를 주입하여 최종 농도가 100 μL/mL(v/v)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1차 항균 활성 분석을 하였다. 계대배양한 고체 배지에서 각 균주를 1 백금이씩 취하고 멸균 생리식염수와 혼합시켜 균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균 현탁액 1 mL씩 페트리 디쉬에 주입한 후 각각의 배지와 한천을 이용하여 배지를 제조하였다. 주입 평판법으로 제조한 배지에 8 mm paper disc를 놓고 마이크로 피펫을 사용하여 에센셜 오일을 20 μL씩 분주하였으며, 37oC에서 24 hr 동안 배양하여 저해환을 관찰하였다.
Paper disc method를 통해 1차 스크리닝된 소재의 최소저해 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분석하였다. Syringe filter (0.45 μm × 25 mm)를 이용하여 가용화시킨 에센셜 오일을 여과 멸균한 다음 각각 50 μL씩 96 well plate에 분주하였다. 1 × 105~106 CFU/mL로 균수를 조정한 균 현탁액을 Well 당 50 μL씩 가한 후 150 μL의 액체 배지를 주입하여 24 hr 동안 배양하였다. 3 hr 간격으로 620 nm에서 microplate reader (VERSAmax, Molecular Device,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최소저해농도는 배양하는 동안 흡광도의 변화가 없는 농도로 결정하였다.
pH에 대한 효능 안정성 평가는 가용화시킨 에센셜 오일을 각각 pH 3, pH 5, pH 7 및 pH 9로 조절하여 3 hr 동안 노출시킨 다음 pH의 변화에 따른 MIC를 측정하여 효능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pH 조절은 1 N HCl과 1 N NaOH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온도에 대한 안정성 평가는 가용화시킨 클로브 오일을 4oC, 25oC, 50oC 및 75oC에서 30 min 동안 노출시킨 다음 MIC를 측정하여 효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 평가는 가용화시킨 자외선 조사환경에서 클로브 오일을 3일간 노출시키고 24 hr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MIC를 측정해 자외선 조사에 따른 효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UV lamp (119.9 × 2.6 cm, 253.7 nm, 36 W, Philips, Netherlands)를 자외선 광원으로 사용하였고, 시료는 광원으로부터 60 cm 정도 떨어진 상태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노출시켰다. 24 hr 간격으로 채취한 시료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여 감싸서 보관하였다.
17종 에센셜 오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종의 구강 세균 (
Table 1 .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against oral bacteria and
Essential oil | Scientific name | Used part | Zone of inhibition (mm) | ||||
---|---|---|---|---|---|---|---|
Grapefruit | Peel | 12 | 10 | 21 | - | 15 | |
Lavender | Flower | 11 | - | 22 | 11 | 12 | |
Lime | Peel | - | - | 13 | - | - | |
Lemon | Peel | - | - | 13 | - | - | |
Lemongrass | Leaf | 20 | 17 | 25 | 13 | 12 | |
Rosemary | Leaf | - | - | 12 | - | - | |
Mandarin | Peel | - | - | 16 | 12 | - | |
Myrrh | Resin | - | - | - | 13 | - | |
Basil | Leaf | - | 14 | 21 | 15 | 12 | |
Bergamot | Peel | 17 | 17 | 20 | 11 | 13 | |
Sweet orange | Peel | 11 | - | 19 | - | 12 | |
Spearmint | Leaf | 14 | 10 | 20 | 18 | 12 | |
Cinnamon | Bark | 15 | 22 | 23 | 15 | 17 | |
Geranium | Flower | - | - | 16 | - | 10 | |
Clove | Bud | 20 | 23 | 28 | 15 | 17 | |
Pine | Leaf | 11 | 13 | 21 | 14 | 16 | |
Peppermint | Leaf | 11 | - | 18 | 11 | 10 |
그람 양성균인
그람 양성균인
그람 음성균인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4종의 구강 세균과 위생 지표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17종 에센셜 오일 중 클로브, 레몬글라스, 시나몬, 베르가못, 스피어민트, 파인 오일이 모든 균에서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고 이를 구강 관련 항균 소재로 1차 스크리닝하였다. 에센셜 오일은 그람 음성보다 양성에 대해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이것은 에센셜 오일은 소수성인 반면 그람 음성균의 외막에 있는 다당체가 대부분 친수성이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 본 실험에서 사용한 그람 양성균 3종 (
앞서 스크리닝한 에센셜 오일 6종 (클로브, 레몬글라스, 시나몬, 베르가못, 스피어민트, 파인)의 구강 세균 4종 (
Table 2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elected essential oils against oral bacteria and
Essential oil | Inhibitory concentration (%(v/w)) | ||||
---|---|---|---|---|---|
Lemongrass | 0.0025 | 0.0025 | 0.00031 | 0.00125 | 0.00125 |
Bergamot | 0.02 | 0.01 | 0.00063 | 0.0025 | 0.0025 |
Spearmint | 0.01 | 0.01 | 0.00063 | 0.0025 | 0.005 |
Cinnamon | 0.00125 | 0.00125 | 0.00031 | 0.00125 | 0.00063 |
Clove | 0.00125 | 0.00125 | 0.00031 | 0.00063 | 0.00063 |
Pine | 0.02 | 0.01 | 0.00063 | 0.005 | 0.005 |
본 실험에서 에센셜 오일 6종 (클로브, 레몬글라스, 시나몬, 베르가못, 스피어민트, 파인)의 구강 세균 4종 (
클로브 (clove)는 향신료의 한 종류이며 도금양과 (
클로브 오일에 대한 연구현황을 살펴보면 사카자키균 및 칸디다균에 대한 항균효과 등에 대해 보고가 되어 있으며, 클로브 내 eugenol 성분이 플루코나졸 내성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23]. 또한 Devi 등 [24]은 클로브 오일의 eugenol 성분이
에센셜 오일은 의약외품 등에 적용할 경우 원료 배합 등으로 인해 pH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클로브 오일이 pH의 변화에 항균 활성이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기 위해 pH 3, 5, 7, 9에 각각 3 hr 동안 노출시킨 후 기존의 pH로 조정하여 MIC를 측정하였다.
pH의 변화에 따른 클로브 오일의 MIC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클로브 오일의 항균 활성이 온도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기 위해 4, 25, 50, 75oC에서 각각 30 min 동안 노출시킨 다음 방냉 후 MIC를 측정하였다. 온도의 변화에 따른 클로브 오일의 MIC를 측정한 결과
에센셜 오일은 그 유용 성분이 빛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 유리병이 아닌 갈색 유리병에 보관한다. 클로브 오일의 항균 능력이 자외선 노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외선을 0 hr, 24 hr, 48 hr, 72 hr 동안 조사한 뒤 MIC를 측정하였다. 클로브 오일을 자외선에 노출시킨 후 MIC를 측정한 결과,
에센셜 오일 17종으로부터 구강 세균 4종 (
2021 ©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